
🕓 1. 시작 — 2025년 10월, 한국의 ‘깜부 회동’ 서울의 한 호텔, 이재용·정의선·젠슨 황이 모였습니다. 삼성·현대차·엔비디아, 이 셋이 치킨을 곁들인 회동을 가졌다고 하죠. 언론에서는 “깐부AI 회동”이라 불렀습니다. 이 자리는 단순한 식사가 아니었습니다. • 엔비디아의 젠슨 황이 직접 방한해 한국 기업들에게 Blackwell GPU 26만 장 공급을 약속했거든요. • 삼성은 AI 반도체 협력, • 현대차는 자율주행 GPU 확보, • 네이버와 카카오는 클라우드 AI센터 확충, 이 모든 게 한 판에 깔렸습니다. 그날 이후 분위기는 뜨거웠어요. “한국, 세계 3대 AI 강국으로!”라는 구호가 나오고, 정부까지 나서서 “이건 국가 전략사업이다!”라며 언론 플레이를 했습니다. ⚙️ 2. 다음 장면 — 현실의 벽 하지만 곧 문제가 드러났죠. GPU 26만 장이면, 단순히 카드 몇 장 꽂는 일이 아닙니다. • 데이터센터는 어디에 지을 건가? • 전력은? 냉각은? • 실제로 AI 학습할 인재는 있는가? 이런 기본적인 **‘운영 기반’**이 비어있었습니다. 정부는 숫자만 크게 내걸었지, 정작 중소기업·스타트업이 GPU를 어떻게 쓸 수 있는지, 누가 관리할 건지, 전력 예산은 누가 책임질 건지 아무 설명이 없었어요. AI 생태계의 씨앗이 필요한데, 정부는 씨앗 대신 트로피를 들고 사진만 찍은 셈이죠. 🇺🇸 3. 트럼프의 선언 — 미국 중심주의의 역습 그리고 바로 그 다음 주, 트럼프가 기자회견에서 폭탄 선언을 했습니다. “엔비디아의 블랙웰 칩은 미국의 것이며, 중국이나 다른 나라에 줄 생각은 없다.” 이 말은 곧 “수출 통제”를 의미했습니다. 즉, 한국이 확보하려던 GPU 공급도 미국의 승인 없이 못 받는다는 뜻이었죠. 이때 젠슨 황은 이미 한국과의 협력을 언급했지만, 트럼프의 정책이 바뀌면 언제든 계약이 꼬일 수 있습니다. 그야말로 **“AI 칩 줄게” — “아니, 못 줘”**의 혼란이 시작된 거예요. 💥 4. 정부의 실책 — 숟가락 올리려다 엎질렀다 이 와중에 한국 정부는 또 실수를 합니다. 기업들이 직접 엔비디아와 협력 중인데, 정부가 나서서 “우리 주도로 협약을 주도했다”는 식으로 성과를 가로채려 한 겁니다. 결과는 뻔했습니다. • 엔비디아 측은 정부 발표에 참여하지 않았고, • 국내 기업들도 “정부가 중간에서 괜히 끼어든다”는 불만을 터뜨렸습니다. 이로 인해 협의 속도가 느려지고, GPU 공급 일정도 불투명해졌습니다. 즉, 기업이 따낸 기회를 정부가 스스로 흔든 셈이죠. ⚡️ 5. 그 후 — 기업은 뛰는데 정부는 발목을 잡는다 정부는 여전히 “AI 허브 코리아”를 외쳤지만, 현장의 목소리는 정반대였습니다. • 전력 인프라 승인 지연, • GPU 수입 허가 절차 복잡, • 예산 지원 미비, 이 모든 게 맞물리면서, 기업들이 실제로 GPU를 들여오고 돌릴 시점이 계속 미뤄졌습니다. 결국 젠슨 황이 남긴 말이 묘하게 상징적이었죠. “AI는 하드웨어보다 사람의 용기와 속도가 중요하다.” 한국은 하드웨어만 외치고, 정작 실행 속도와 구조적 준비는 부족했던 겁니다. 🧩 6. 결말 — ‘깜부 회동’은 성공, ‘정책’은 실패 이 회동은 기업에게는 분명 성과였습니다. 삼성, 현대차, 네이버가 AI 인프라 동맹을 만들었으니까요. 하지만 정부는 이 성공 위에 정치적 홍보용 숟가락을 얹으려다, 결국 신뢰를 잃고 기회를 좇기게 만들었습니다. 요약하자면, “기업은 치킨을 나눠먹으며 미래를 구웠고, 정부는 숟가락을 들다 국물을 엎질렀다.”
jin-ovw
1
Views 49 • (Edited)